[ 울릉도 ] 현포로 가는 길
< 2017. 6. 21. ~ 6. 23. >
2017년 6월 21일무터 2박 3일 일정으로
금천문화원 회원 91명이 울릉도를 여행하였다.
여행 첫 날인 어제 울릉도에 도착하였고,
봉래폭포를 거쳐 내수전망대와 해안산책로를 탐방하였으며,
여행 둘 째 날인 오늘은 종일 바쁘게 다닐 것이다.
오가는 버스에서 설명을 들으면서 현장을 볼 것이고
이따끔 쇼핑도하지 않을 런지...
- 6. 22. 목요일 -
일행 모두가 버스에 올랐고
버스는 어느새 통구미 해안을 지나고 있다.
통구미는 숙소와 가까운 바닷가?
잠시뒤 버스가 세워지고 모두 내렸다.
짦은 기간에 울릉도의 이모저모를 살피려면 가능한
빨리 움직여야 한다는 주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에 얼른 보고
약속된 시간 안에 버스를 타기로
우리 일행들과 운전기사 사이엔 암묵적인 약속이 생겨났다.
버스가 세워진 이곳은 학포 향나무자생지란다.
사진은 무너진 절벽 틈에 끈질기게 매달려 있는 향나무를 보여준다.
뿌리가 노출돼 있어 안쓰럽다는...
울릉도와 독도의 유명한 여행지 대부분이
빼어난 지질과 경관을 자랑한다.
울릉도 여행이 곧 지질 여행이라 하지 않던가.
가장 두드러지는 지질은 울릉도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해안 절벽 '해식애'가 아닐까 싶다.
울릉도는 부서지기 쉬운 응회암질이라 배웠고
그런 용암은 파도(파랑)나 바람에 예민하게 반응한다고 들었다.
그래서 기묘한 형상의 절벽이 많고..
뉴스를 통해 태풍으로 인한 울릉도의 도로 파손을 듣게 되었으리라.
그런 험한 울릉도 해안이지만...
요소요소에 사람들이 모이고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울릉도라는 섬 전체가
화산의 용암 분출로 생겨난 섬으로 바위로 구성돼 있으며
노출된 바위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풍화작용으로 깨지고 변화하는 것이 반복되는 과정에 있다고
가이드는 힘주어 설명한다.
울릉도는 경작지가 없는 가운데 조상들이 살아온 땅이란다.
그런 이유로 대부분의 주민들의 삶이 궁핍하기에
보다 나은 조건인 육지로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그렇기에 인구가 비교적 적다고...
먼 육지에서 식량을 비롯한 생필품을 들여 와야 한단다.
또한 험준해서 도로사정이 좋지 않다고 했다.
그렇지만 근래 사정이 좋아지고
육지로부터의 관광객도 늘어나고 있단다.
신비의 섬 울릉도~,
울릉도에 닿자마자 읽게되는 안내 문구였다.
왜 울릉도를 신비로운 섬이라 소개하고 있는 것일까
발 닿기가 어려운 머나먼 깊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이란 지리적 특성 때문일까
한반도 동쪽 끝에 위치한 독도의 지정학적 아련함 때문일까
대체 왜 울릉군에서는 울릉도가 신비롭다는 것일까
한마디로 울릉도는 보물섬이라는 거다.
규모에 비해 보물 같은 볼거리가 너무도 많다고 한다.
울릉도 여행에서 관심있게 봐야 할 것은
화산, 동식물, 섬 생활상이라는...세가지로 구별할 수 있겠으며.
그중 으뜸은 뭐니뭐니 해도 화산 경관이리라.
물론 화산섬하면 제주도가 먼저 떠오르지만 말이다.
울릉도 지형에 대한 이해 없이 동식물도,
또 그곳의 인문 경관도 제대로 알기 어렵다고 한다.
우리가 이번 탐방에서 울릉도 보물을 잘 건지기 위해선
울릉도 땅의 생리를 먼저 알아야 할 게다.
250만 년전, 3천m, 조면암, 급사면, 칼데라, 외륜산, 이중화산,
중앙화구구, 지하수 등이 울릉도 화산 지형에 대한 키워드들 이라면
성인봉, 나리분지, 알봉, 알봉분지, 추산 수력발전소는
이와 관련된 고유명사들이라 한다.
그럼 이런 단어들을 떠올리며 본격적인 울릉도 여행을 떠나자.
충분한 여유를 갖고 찬찬히 관찰해 보는 거다.
저기 저 바위의 누런색이 무엇일까
흡사 초겨울 잔디 색상을 띠고 있는데..직접 만져보고
살피는 것은 무리다.
그럴 때는 고개를 돌려
철석 거리는 바다를 보면서 주제를 바꾸면 된다. ㅎ
문샘 부부 의외로 닭살이 돋게 하네....
처녀 총각 때 같은 회사에 근무하며 눈이 맞은 것 같다.ㅎ
부서지는 저 파도를 담으시나?
애국가가 흐르며 나오는 풍경과 비슷하긴 하다.
동쪽은 시작을 알리면서 희망을 부여하는
그런 느낌을 갖는 방향이다.
오랜세월 해식 작용으로 절벽을 이루는 해안
그 주변에 물고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울릉도는 어업이 성했지 싶네...
근래 해수온도 상승으로 오징어나 명태어장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언로보도가 있지만..
그래도 울릉도라 하면 우선
오징어부터 떠올릴 정도로 어업이 성한 섬으로 기억된다.
섬여행을 하면 방향감각이 퇴화 하는 듯..
도대체 방향을 잘 모르겠다.
아내와 여행할 때는
가이드의 얘기를 둘이서 듣게 되므로 어쩌다 까먹어도
기억이 남는 경우가 있는데...
기억하기로는 사진상의 저 곳은
학포로 가는 해변길 같다.
혼자이다 보니 백지처럼 잃어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해서 글쓰는데 애로다.
지금보고 있는 구멍뚫린 저바위 이름을 분명이 들었는데
전혀 생각나지 않으니...나 원 참..ㅜㅜ.
하여튼 인간의 두상 같은 사진은
우측은 사람 형상에 구멍 뚫는 곳이 눈처럼 보인다.
그러나 좌측을 보면
그 역시 누워있는 두상의 모습이 아니던가
온통 푸른(파란) 풀색을 띠고 있는데..
어찌 바위 윗쪽의 저 풀(?)은 왜 저런색이란 말인가.
외국 여행 때는 현지 가이드가 일행을 이끌면서
이것저것 설명을 하기도 하지만 질문에 답을 하기도 해서
궁금증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해설사 없이 국내 여행을 하다보면...
의외로 겉만 보고 올 때가 많은 것 같다.
그나저나 사진을 보니 코주부 영감 콧잔등 위로
나무가 자라는 것 같다는...
여기선 운전기사(가이드?)는 동행하지 않고
버스에 앉아 있기만 한다.
뭐 그리 불평할 일은 아니지만...
아쉬움은 남는가운데 버스는 다시 떠난다.
울릉도 여행하려 차량을 가져오기도 힘들겠지만
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하는 것이 괜찮을 듯 하다.
도로가 좁아 정차하는 것도 곤란한 정도이고,
일반 승용차를 운전하면서 주변 경치를 몬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
창밖에 활짝핀 접시꽃이 보인다.
어? 어제 지났던 곳인가?
접시꽃 당신이 또 생각나는구먼~.ㅎ
이곳을 지날 때 운전기사님(가이드, 해설사?)은
울릉도 자랑을 하며 이름을 말했었는데 또 잊고 말았다. ㅜㅜ
암튼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아니면 오르막을 오르기 위해 한바퀴 회전한다는 것이었으며,
철도의 똬리굴 같이...
아니 도시의 고가 처럼 만들었다는....
저곳이 학포였나 ? 태하 얘기는 들었지만
구암이란 지명을 듣지 못한 것 같다.
울릉송담실버타운....
많은 사람이 저기가서 노후를 보내길 희망하기에...
하늘에 별따기라고 한다.
트랙과 축구장을 만들어...
울릉도 주민들의 체육대화는 물론이고...
육지 축구팀의 동계훈련 등을 유치한다면서
운동장을 건설했으나 지금을 애물단지라고 한다.
육지의 유수 축구단은 교통 등이 물편하다는 이유로
이곳으로 전지훈련도 오질 않고...
울릉도 사람들 조차 잘 모이지 않기 때문에...
관리 예산만 투입하기에 애물단지라는....
어? 우리보다 앞서서 가는차가 있었네?
우리 일행일수도있고 아닐수도...
우리 일행 91명은 4대의 버스에 분산되고
버스마다 따로 움직이기 때문에
여행지가 서로 다르고
때에 따라서 어느팀은 특정한 곳을 못볼수 있다는 것
많은 곳을 보려면 운전자와 여행객 사이에
박자가 서로 맞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얼핏 얘기를 들어보면 운전기사마다 선호하는 기념품매장이 있어
서로 방분지가 다를 수 있다는 뉘앙스다.
우리 운전기사는 울릉도 얘기를 많이 했다.
화산 폭발로 생겨난 나리분지 울릉도는 제주도와 함께
화산 폭발로 생겨난 섬이며,
화산으로 태어난 백두산이나 한라산은
천지와 백록담이라는 연못이 그 흔적이지만
울릉도에서는 물이 없이 나리분지가 이를 대신 한단다.
오늘 우리가 탐방할 장소 중 하나란다.
도로 옆에 전봇대가 보이는데...
울릉도 추산에는 1974년 수력박전소가 건설되었으며
전력량이 풍부하여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력발전으로 생산하는 전력량으로 섬 소요 전력을 커버 했었단다.
그러자 현재는 전력수요가 늘어나 내연발전소가 건설되었단다.
사진에 해양심층수란 글씨가 보인다.
울릉도의 특산물중 마가목이 있으며
한약제로 각광을 받는 단다.
우리 운전기사의 고향은 대구이고,
사업 중에 울릉도를 여행왔다가 울릉도에 반했으며,
어떤일의 기화로 이 일을 하기 시작했단다.
그러구 보니 울릉도에 있으면서
현지인과의 대화(?)는 운전기사의 말을 들은 것이 99퍼센트다.
그래서 울릉도 사투리가 기억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운전사 뻥이 좀 지나친 것 같다.
이곳을 지나기 5분 전 쯤 울릉도는 작은 섬이고...
화산암이래서 비가 내려도 땅으로 스며들기에
비내릴 때만 도랑이 형성된단다는 것...
그래서 울릉도는 민물고기가 살 수 없고,
민물고기를 볼 수 없단다.
그렇지만 울릉도에 단 한 곳에는 유명한 저수지가 있는데..
곧 그 곳을 지난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그러면서 좌측 창밖 저 아래를 보란다.
그런데 당겨 찍어서 그렇지 몇평에 지나지 않는
육지의 둠벙 수준인데도 그렇게 뻥쳤다는...
그러면서 울릉도 사람들은
육지 사람들에게 꿀리지 않으려고 그렇게 말한대나?
자기도 그렇게 당했다고...ㅋ
울릉도에선 마가목을 가로수로 심기도 한단다.
울릉도는 단호박이 유명하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우연한 기회에 단호박을 심었는데
육지와 다르게 품질이 아주 좋았단다.
특히나 같은 크기라 하더라도 울릉도 것이 더 단단해
무게가 1.3배나 무거운 특징에다.
당도까지 높다는 것이 알려지고
해발 500미터 부근에서 잘자라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너도나도 섬 공터에 심다보니
생산량이 많아졌단다.
이를 소비하려 궁리한 끝에..
개발된 것이 울릉도 호박엿이었다는 것..
그 뿐만 아니라 지금은 제리와 빵 까지 확장됐고
섬내 저런 공장이 여러 곳 있단다.
단호박 보다 유명한 울릉도 특산물이
명이나물이란다.
명이나물은 원래 자연산에서 자라지만...
수요가 많아 재배를 한다고 했다.
올해는 가뭄으로 인해 생산량도 많지 않을 뿐 아니라
품질도 떨어질 것이 예상된단다.
울릉도의 도로의 총길이는 56키로미터이고
최고 운행속도는 시속 40키로미터란다.
도로엔 아스팔드 포장이 없으며 모두 콘크리트 포장이란다.
울릉도 특성상 눈이 많이 오기 때문에
차량의 바퀴는 스파이크가 붙은 타이어를 사용하며,
그에 아스팔트는 견디지 못한단다.
그래서 울릉도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을 하는 것이라 했다.
왕호장대 이파리 너머로 파란 파닷물이 보인다.
그리고. 바위와 돌들이 훤히 비친다.
코끼리 바위...아니 섬이라 해야하나?
코끼리 바위를 조망하기 좋은 장소라 해서
우리 버스가 멈췄다.
태풍으로 파도가 심할 때는 위험하므로
저런 해변 도로는 운전자들이 알아서 다니지 않는다고...
사실 코끼리 바위는 멀리 있다.
망원렌즈를 이용하기에
사진으로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한글서예반 화이팅..
한자서예반 사모님도 오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지 해안에서
주상절리를 보았을 터인데...
울릉도에선 여러 방향의 절리현상을 볼수 있는데...
와상절리나 복합형 등 다양한 현상까지 있단다.
사진 50장씩 구분이 불가피하여
여기서 단락을 짓기로 한다.
^L^
'여행과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울릉도 ] 나리분지(羅里盆地) 이야기 (0) | 2017.08.09 |
---|---|
[ 울릉도 ] 성불사 찍고 나라분지로 가는 길 (0) | 2017.08.08 |
[ 울릉도 ] 저동 해안산책로 (0) | 2017.07.26 |
[ 울릉도 ] 봉래폭포와 삼나무 숲 (0) | 2017.07.21 |
[ 울릉도 ] 신비의 섬, 명품 녹색관광섬을 가다 (0) | 2017.07.17 |